나주향교2 삼남길 개척단 11기 활동 - 배꽃길 만들기[첫째날] 삼남길 11구간 - 배꽃길 만들기[첫째날] 2011년 11월 19일(토) 나주 만봉천 운곡교 ~ 영산강 ~ 홍어의 거리 ~ 영산교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영강사거리 ~완사천 ~ 장산리도로유구 ~ 나주시청 ~ 교동교 ~ 나주읍성 서성문 ~ 나주 향교 ~ 한수제 ~ 금성산 탐방로 ~ 동신대학교(약 9km, 5시간 소요) 삼남길은 전남 해남 땅끝에서 시작해서 전남, 전북, 충청지역을 거쳐 서울 남대문까지 약 천리에 이르는 길로 조선시대 10대 대로 중 가장 거리가 긴 도보 코스입니다. 삼남길 개척단은 각 구간별로 구간 개척에 관심이 있는 12인의 일반인을 선정하여 사단법인 아름다운 도보여행 대표인손성일 대장이 총괄을 하고 코오롱 스포츠의 후원을 통해 숨겨져 있는 옛길을 복원하고 길을 잇는 역할을 하게 .. 2011. 11. 22. 나주 금성관과 나주 목문화관 그리고 나주향교 긍성관은 나주 곰탕의 원조 식당들이 주변에 있는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금성관의 대문격인 망화루를 들어서니 마치 궁궐터와 같은 느낌이 드네요. 금성관은 지방유형문화재 제 2호로 국내 최대 크기의 조선시대 나주목(牧)의 객사(客舍)입니다. 객사란 고려~조선시대때 지방 궁실로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고을 관리와 선비들이 모여 망궐례(望闕禮)를 올리며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양쪽의 익사(翼舍)에서 유숙하게 하던 곳이지요.일제시대에는 나주군청청사로 사용되기도 했답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궁궐을 보는 느낌이 듭니다. 아무래도 왕의 통치가 강력하지 못하고 조금은 미약한 시기였기에 왕의 대리인이 백성을 다스린다는 의식을 심어주어야 했을테니요. 금.. 2010. 6.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