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역사,사찰

[경북 영주/충북 단양] 소백산 자락길 : 에필로그

by 마음풍경 2010. 5. 23.

1박 2일 동안 소백산 자락길을 걸었습니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573

 

소백산 자락길-(1) : 달밭길을 걷다.

소백산 자락길 1코스(선비길-구곡길-달밭길)소수서원-금성단-죽계구곡-초암사-달밭골-비로사 삼가리(12.6km), 4시간 30분 소요 2코스 일부비로사 삼가리-금계호(4.1km), 40분 소요 지난 4월 벚꽃 화

sannasdas.tistory.com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574

 

소백산 자락길(2) : 죽령옛길을 걷다.

소백산 자락길 2코스 일부(승지길-과수원길)금계호-금선정-풍기온천-소백산역(구 희방사역)(12.6km), 3시간 10분 소요 3코스(죽령옛길-용부원길-장림길)소백산역-죽령옛길-단양 용부원리-죽령역-

sannasdas.tistory.com

 

약 40km, 100리길인지라

당초 2박 3일을 생각했는데

1박 2일로도 걸을 수 있었습니다.

 

소백산을 끼고 도는 길인지라

마치 지리산 둘레길처럼

소백산을 바라보는 느낌도 좋고

기운을 가득 받는 기분도 들더군요.

 

다만 이 길도 몇가지 아쉬운 점을

이야기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40km 거리에서 비포장 흙길이

무척이나 적다는 느낌입니다.

 

초암사에서 비로사로 가는 달밭길과 죽령옛길

용부사 입구에서 죽령터널 입구까지의

전체 약 7km 정도만 흙길이고

나머지는 포장이 된

도로라는 점이 아쉽더군요.

 

마지막 구간인 장림길은 교통편때문에

장림까지 길을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차가 많이 다니는 국도인지라

길을 걷는 위험도 있고요.

 

없는 길을 새롭게 만들 수는 없으나

혹 찾아보면 과거 사람들이 다니던

지워진 흙길이 있을수도 있고요.

 

둘째, 소백산 달밭길과 용부사에서

죽령터널까지의 구간이

국립공원 출입금지 지역이었습니다.

 

이 길의 테마가 문화와 생태가

어우러지는 문화생태탐방로인데

혹 생태 탐방이라는 목적으로

자연 생태를 훼손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더군요.

 

법적으로 출입이 가능한지

확실하게 해야할것 같기도 하고요.

 

합법적으로 오픈은 했으나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지 못하게

출입 금지 팻말을 궁여지책으로

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셋째, 다른 길도 마찬가지이지만

소백산 자락길을 인도하는 안내 표시가

필요한 구간이 조금 있더군요.

 

소백산 자락길은 아쉬운 점을 빼면

지역의 문화 이야기와 소백산 자연 생태를

느끼는 좋은 길임에는 틀림업습니다.

가는 길에 식사와 숙박을 불편없이

해결할 수 있는 인프라도 훌륭하고요.

 

출입금지라는 팻말이 조금은 찝찝했지만 

달밭길과 용부사에서 죽령터널까지의 구간은

가장 좋은 추억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소백산 자락길이 연장된다고 하니

이 길이 지나는 경북 영주와

충북 단양이 더욱 협력하고 협조하여

좋은 걷기 길로 만들어 지길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