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산3

섬을 거닐다 : 보길도 ① -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탄생지를 찾아서 보길도  전남 완도군 보길면  고산 윤선도부용동 원림 : 세연정, 곡수당, 낙서재터, 동천석실 보길도는 孤山 윤선도의 자취가 담겨있는 곳으로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적에게 항복했다는 소식을 들은 고산은 이를 욕되게 생각하고 세상을 등지고자 제주도로 향하던 중 풍랑으로 보길도에 상륙했다가 보길도의 풍경에 반해 정착하게 되었으며 이후 격자봉 능선아래 부용동이라 이름하고 자신만의 낙원을 꾸며 기거 지역인 낙서재와 학문을 익히며 여러 사람과 교우를 했던 동천석실, 그리고놀이공간인 세연정 등을 꾸며놓고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곳에서 조선시가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어부사시사 등을 남겼습니다. 지난번 1월 여수 금오도에 이어 이번에는 남쪽 멀리 해남 땅끝 앞바다에 있는 보길도로 향합니다. 보길도는 행정적으로는 완도군.. 2011. 2. 21.
해남 녹우단 돌담길 - 고산 윤선도의 고택 녹우단 및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녹우단은 윤선도가 기거하던 녹우당과 안사당, 추원당 그리고 고산 사당과 어초은 사당 등 해남윤씨 종택 전체를 말합니다. 대흥사에서 해남 읍내 조금 못미쳐 연동리에서 우측 방향으로 가면 녹우단 주차장이 나오며주차장에서 조금 걸어 들어가면 먼저 최근에 새롭게 지은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을 만나게 됩니다.  이곳 유물 전시관은 해남 백련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해남 윤씨 어초은공파의 역사와 유물이 전시된 공간이라고 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중얼 중얼 외던 어부사시사도 보고요.   오우가가 들어있는 시집인 산중신곡도 실물로 보게되네요.그나저나 이곳 전시관에는 보물이 참 많습니다.  산중신곡을 비롯해서 금쇄동기 등 보물만 해도 10여점이 넘는것 같습니다.. 2010. 11. 17.
윤선도 무덤 가는 길 - 고산의 은거지 금쇄동을 찾아서 고산 윤선도 무덤 길  전남 해남  현산면 구시리 원천동(금쇄동) 금쇄동 입구 안내판 ~ 고산 신도비 ~ 윤선도 무덤 ~ 금쇄동 임도 끝지점 ~ 고산 제각 ~ 입구 안내판(약 7km, 2시간 소요) 해남에는 고산 윤선도의 흔적들이 이곳 저곳에 많습니다.그중 금쇄동은 고산 윤선도가 경북 영덕에서 해배가 된 후 수정동 및 문소동에 이어 고산이 찾은 3번째 은거지로 고산이 쓴 산중신곡과 금쇄동기의 무대이기도 합니다.  금쇄동은 대흥사에서 해남 방향으로 가다 매정3거리에서 806번 지방도를 타고  4km 가면입구에 윤선도유적 표지판이 있습니다.     도로 입구에서 시골 길을 따라 약 3.5km를 들어오면 금쇄동 안내도가 있는 주차장을 만납니다.  금쇄동기에 나오는 22개 지명를 찾아가는 그림과 설명이 있는데 .. 2010.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