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샘4 장수 와룡자연휴양림 능선길 - 천상데미를 넘어 데미샘까지 장수 와룡자연휴양림 능선길 전북 장수군 천천면 비룡리 산 84-2 와룡 휴양림 주차장 -> 왼편 등산로(부엉이방 쪽) -> 깃대봉(1,100m) -> 천상데미(1,055m) -> 데미샘 -> 선각산휴양림 -> 오계치 -> 주차장(약 8km, 4시간 소요) 지난주 모악산 편백나무 숲길에 이어 오늘은 전북 장수에 있는 와룡 자연휴양림을 찾아갑니다. 진안과 경계에 있는 와룡 자연휴양림은방화동자연휴양림과 함께 장수군이 운영 관리하는 휴양림으로 오계치를 넘어가면 섬진강의 발원지인 데미샘이 있습니다. 휴양림에서 계곡 왼편 깃대봉을 올라 천상데미 아래 데미샘으로 내려서서계치 고개를 넘어 되돌아올 계획입니다. 와룡 자연휴양림은 해발이 600m이상이어서인지 선선하고 상쾌한 기분입니다. 휴양림 산책길을 따라 오르다 등.. 2012. 5. 29. 진안 백운마을 간판 풍경 - 하늘을 보아요. 흰구름! 전안군 백운면 원촌 마을 시골 담장에 그림을 그리는 활동과 함께 시골의 오래된 상점 간판을 멋지게 만드는 작업 또한 충북 옥천 구읍의 정지용 시가 쓰여진 풍경을 비롯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진안에서 30번 국도를 타고 남원 임실 방면으로 가다가 진안 데미샘을 찾아가는 입구에 있는 진안군 백운면 원촌 마을 또한 멋진 간판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진 마을이지요. "흰 구름. 하늘을 보아요" 도심에 살다보면 하늘을 쳐다볼 수 있는 기회가 많지가 않는데 흰구름이 머문다 해서 백운이라고 하는데마을의 느낌이 왠지 간판위에 두둥실 걸려있는 구름을 닮았네요. ㅎ 간판의 화려함보다는 왠지 간결하고 담백한 느낌이 새하얀 구름의 이미지를 닮은것 같고요. 도시는 SSM이다 피자다 닭튀김이다 해서 시끄럽.. 2010. 12. 15. 5대강 발원지를 찾아보며 - 에필로그 5대강 발원지를 가다 올 늦여름 태백을 찾아 한강발원지인 검룡소를 비롯해서 낙동강 발원지인 황지를 보았고 가을에 금강의 발원지인 장수 뜬봉샘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단풍이 저버린 늦가을에 영산강 발원지인 담양 용소를 가보았고마지막으로 겨울의 문턱에서 섬진강 발원지인 진안 데미샘을 찾았네요. 강의 발원지는 참 소박했습니다. 작은 옹달샘 혹은 연못의 물이 흘러 그처럼 긴 강을 만들고 그처럼 장대한 강물을 만든다 생각하니 "시작은 미미했으나 네 끝은 창대하리라"는 성경의 구절이 저절로 떠오르더군요. 그 강을 따라 걸어보기도 했습니다.현자의 말처럼 강은 산을 넘지 않고 들과 함께 굽이쳐 흐르는 것이 강이라는 말이 또한 생각이 납니다. 사람이 만들어 놓은 것은 직선이지만자연이 만들어 놓은 것은 곡선으로 흐.. 2010. 12. 14. 섬진강 발원지 : 전북 진안의 데미샘 섬진강 발원지 : 전북 진안군 데미샘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지난번 영산강 발원지인 담양 용소를 끝으로 4대강 발원지 찾기는 전부 끝내고섬진강의 발원지인 데미샘을 찾아갑니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683 영산강 발원지 : 전남 담양의 가마골 용소영산강 발원지 : 전남 담양군 용면 용소리의 용소 한강과 낙동강, 금강 발원지에 이어 4대강 중 가장 마지막으로 영산강의 발원지를 찾아갑니다. 영산강의 발원지는 전남 담양 용면의 가마sannasdas.tistory.com 데미샘 가는 길은 진안군에서 임실방향 30번 국도를 타고 백운면을 지나고 나서 장수방면 742번 지방도로 갈아타고 가다원신암 마을 입구에서 좌회전하여 계속 직진하면 됩니다. 원신암 마을 입구 삼거.. 2010. 12.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