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06년 8월 19일(토)
산행지 : 충남 서산시 팔봉면 팔봉산
양길리 2구 마을 주차장 ~ 1봉(감투봉) ~ 2봉 ~
통천문(용굴) ~ 3봉(정상) ~ 4, 5, 6, 7, 8봉 ~
서태사 입구 ~ 어송리 마을 주차장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약 7km, 3시간
팔봉산은 금북정맥의 금강산(316m)에서
태안반도 바다 방향으로 분기한
조망이 뛰어난 여덟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입니다.
전설에 따르면 당초 이 산은
9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었는데
가장 작은 봉우리가 제외되어
그 봉우리가 태안의 시가지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백화산이 되었다고 합니다.
[8시 넘어 대전을 출발한 버스는
10시 50분경에 양길리 주차장에
도착합니다.
몇년전에 왔을때 보다 등산객이
많은지 주차장 및 도로 등
주변 시설이 상당히 좋아졌더군요.]
[올라가야할 봉우리들이
머리위로 보입니다.
왼편이 1봉인 감투봉이지요]
[하늘과 구름의 조화가 좋은 하루였습니다.]
[정상까지 1km남짓 하다는데 ???
더 될것 같은데]
[여하튼 11시 넘어 차분한 길을 걸으며
산행을 시작합니다.]
[임도길을 가다 본격적인 산행길로 접어들고요]
[물론 이 길도 산책로와 같은 길입니다.
오늘은 산행 거리도 시간도 짧아
소요 시간은 그리 큰 의미는 없습니다.
여유로운 산행이 오늘 주제이지요]
[만세팔봉이 새겨진 바위를 지나면
이제 조금 가파른 산길이 시작됩니다.]
[산행한지 약 20여분 만에
1봉과 2봉 사이 안부에 도착합니다.]
[왼편으로는 감투봉으로 가고
오른편으로는 정상 가는 길입니다.]
[감투봉을 오르다 뒤돌아보니
2봉과 3봉이 연이어 보이네요]
[감투봉에서 바라보는
가로림만의 바다 조망은
그야말로 시원한 바람과 함께
멋지게 다가옵니다.]
[감투봉 정상을 오르기는
그리 쉽지 않습니다.
터널을 통과하고 건너 뛰고
또 오르고 해야합니다.]
[하지만 노력만큼 멋진 조망이라는
보상이 있지요.
정말 바람처럼 시원한 조망입니다.]
[아쉽게 감투봉을 내려와
2봉을 향해 갑니다.
철계단길이 제법 됩니다.
77 계단이라고 하는데
세어보지는 못했습니다.]
[뒤돌아 본 감투봉은 정말 옛날 양반들의
감투 모양처럼 생겼습니다.]
[산에서의 바다 조망은 보고 또 봐도
질리지가 않습니다.]
[막막한 바다는 아니지만
무언가 가득찬것 같은 바다가
이처럼 넉넉하게 다가옵니다.]
[구멍뚫린 바위라고 하는데 제 눈에는
코끼리 바위처럼 보이더군요.
2봉의 상징이지요]
[2봉을 지나 3봉을 향해가는데
곰발바닥?같은 바위가 나옵니다.
2봉에서 3봉 사이는
재미난 바위가 참 많네요]
[정자와 헬기장을 지나게 됩니다.]
[밧줄을 잡고 오르며 또 때론
바위 사이를 지나야 하고요]
[진짜 굴은 이곳에 있습니다.
용굴인데 배낭을 매고는
도저히 통과할 수 없는 작은 굴입니다.
물론 철계단으로 우회하는 길도 있습니다.]
[ㅎㅎ 이 조그만 구멍을 통과하기가 쉽지는 않지요]
[여하튼 용굴도 통과하고
3봉에 거의 다다릅니다.
주변 조망과 멋진 바위가 조화롭네요]
[공룡알과 같은 바위도 만납니다.]
[발아래로 감투봉과 2봉이 작게만 느껴지네요]
[마지막 이 철계단을 오르면 정상입니다.]
[정상에 오르니 사방 팔방으로
조망이 시원하게 터집니다.
거북이 바위 모양이지요]
[정상에는 정상석이 2군데 있습니다.
건너편 정상이지요]
[멋진 조망과 시원한 바람..
내려가기 싫더군요.]
[오른편 8봉의 모습과 그 뒤로 금강산
저 멀리 홍성의 용봉산과 가야산이
보일정도로 조망이 좋네요.]
[4봉부터 8봉까지 이어지는
팔봉산 남은 능선입니다.]
[정상에는 이곳에도 정상석이
건너편에도 정상석이 있습니다.]
[2003년 이전에 세운 정상석이라
361.5m로 되어 있습니다.]
[주변 기암 괴석과 훌륭한 조망
그리고 멋진 하늘이
한폭의 그림을 만드네요]
[특히 하늘이 참 좋았습니다.]
[보고 또 봐도 전혀 질리지가 않습니다.]
[첫번째 정상석에서 내려서니
362m로 되어있는 정상석이 있네요.
2003년부터 고도가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여하튼 정상 부근의 바위들은
꽃봉우리처럼 멋진 동양화를 만듭니다.]
[3봉을 지나 4봉부터는 암릉산이라기 보다는
육산 능선을 걷게 됩니다.]
[몰론 가는 주변에는 멋진 바위들이
군데 군데 있습니다.]
[3봉을 내려서서 4봉을 향합니다.
왼편으로 향하면은 천제터를 지나
원점회귀 산행이 됩니다.
옛날 이곳으로 내려갔는데
상당히 운치 있는 산길입니다.
아직까지 깊은 이미지로
남아 있는 걸 보면
그 오솔길을 한번씩 다녀가시라고
권하고 싶네요]
[4봉에서 뒤돌아본 정상의 모습 정말 좋데요..]
[고흥 팔영산을 보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군데 군데 멋진 바위와 함께하는 조망은
발걸음을 가볍게 하지요]
[바위위에 소나무도 멋지죠.
누군가는 소나무가
외롭게 보인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주변이
자연 친구들인데 외롭겠습니까.
인간들만 홀로있으면 외로운거지요]
[내려가는 길에도 철계단길이 아직 있네요.]
[6봉을 오르려면은
힘든 밧줄길을 올라야 합니다.]
[6봉에서 바라본 정상의 모습은
여전히 좋네요]
[포근한 저 위로 사뿐히 뛰어내리고 싶더군요]
[요즘 유행하는 괴물 영화가
이바위를 보니 생각이 나데요.
조금 닮은것 같네요 ㅎ]
[하얀구름 파란 하늘, 그리고 멋진 바위..
오늘 산행의 주제이지요]
[자꾸만 쳐다보고 싶은 그런 하늘입니다.
어떤 시인은 이런 하늘을 바라보면
눈물이 난다고 했지요.
저도 그랬습니다.
제 마음도 저 하늘을 닮고 싶네요]
[몇몇 봉우리를 가볍게 지나니
8봉에 도착합니다.
주변조망은 그리 없더군요]
[약간 오른편으로 능선을 따라
내려가니 임도 길을 만나게 됩니다.
반대로 오르면 서태사 가는 길입니다.]
[노래의 구절처럼 하늘이 하늘이
내게로 옵니다.
시원한 나무와 함께..]
[소나무들이 시원한 바람과
멋진 하늘과 함께 친구가 됩니다.]
[이제 산행 종점에 다달은것 같네요.
근데 입구의 작은 오토바이가
묘한 느낌을 줍니다]
[주차장에서 뒤돌아본
팔봉산 능선의 모습입니다.]
[약 3시간의 짧은 산행을 마치고
간월도로 갑니다.
오른편 섬이 간월암이지요]
[이곳은 어리굴젓이 유명합니다.
굴로 고추가루를 넣고 담은 젓갈이지요]
[간월암 가는 길은 물이 빠져서
바다쪽으로 건너갑니다.]
[이곳은 낙조 풍경으로 유명합니다.
물이 빠지니 작은 성처럼 보이네요.
외로워 보이기도 하고요]
[간월암은 무학대사가 창건한 암자라고 합니다.
원래는 이 작은 섬을 포함하여
주변 전체 섬이 간월도였는데
방조제 사업으로 대부분 육지가 되고
작은 돌섬만을 간월도라 부른답니다.]
[여수 향일암의 조망은 아니지만
낮은 시야에서 보는 바다도
더 친근하게 다가오데요]
[물이 빠진 갯벌에는 사람들이
무언가 잡기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고요]
[하늘의 갈매기를 바라보면
갈매기의 꿈이라는
책과 영화가 생각납니다.
닐 다이아몬드의 Be라는 노래와 함께..
고3 시절 몰래 나가 이 영화를
도둑 고양이처럼 본 추억도]
[모든게 넉넉하고 편하고
좋은 그런 시간이었네요]
[바쁘게 살면서 아니 바쁘게 산행을 하면서
오늘같은 여유로움은 오랜만의 사치이지요]
[돌아오면서 바다를 바라보며
맛난 회도 먹고 전어도 먹고..
입도 즐거운 하루가 되었습니다.]
조금은 짧은 산행이었지만 오늘 산행은
양보다는 질인것 같습니다.
보너스로 간월암도 여유있게 보고요.
안면도를 가면서 지나치기만 한 곳이지만
오늘은 그곳을 처음으로 찾아본 것 같네요.
산이 다르지 않고 바다가 다르지 않고
하늘과 구름 그리고 바람이
다르지 않는것 같습니다.
그속에서 인간은 어떤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는지요?
산에 오르는 자들은 오르는 그 순간부터
스스로 원하든 원하지 않든
끝없이 자비를 꿈꾸는 자들이라고
누군가 말합니다.
오늘 그 산과 바다를 보면서 자비를
느껴보았다면 다행이었겠지요.
'산,들,강변,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팔봉산 암릉길 - 기묘한 바위와 홍천강 조망 (0) | 2006.09.11 |
---|---|
계룡산 수정암릉 길 - 아름다운 수정봉 조망 (0) | 2006.09.01 |
홍천 백우산 산행기 (0) | 2006.08.16 |
동해 두타산 및 무릉계곡 산행기 (0) | 2006.08.13 |
영월 잣봉 산행 및 어라연 트래킹 (0) | 200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