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4 나주목사내아 금학헌에서 보낸 하룻밤 나주 목사내아 - 금학헌 나주의 옛 모습을 찾아보는 출발점은 옛 관아의 정문인 정수루에서 시작됩니다. 정수루를 중심으로 금성관과 나주 목문화관을 비롯해 나주목사내아가 있습니다. 정수루를 지나오니 나주목사내아 문간채가 나옵니다. 목사내아 길 건너편에 목사가 정무를 보던 동헌(東軒)이 있었는데지금은 존재하지 않고 머지않아 복원을 한다고 하네요. 금학헌이라는 현판 아래 대문으로 들어섭니다. 대문을 들어서니 마사토가 깔린단정한 느낌이 드는 마당이 나옵니다. 목사가 기거한 관저라서 화려함보다는 정갈하고 절제미가 보이는 정남향 한옥입니다.보통 남도쪽 한옥이 ㅡ자형인데 보기 드물게 ㄷ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네요. 오른편에 있는 유석증 방이 오늘 하루 기거할 방입니다. 하룻밤에 15만원이나 하는 방인데 한국.. 2010. 6. 28. 나주 금성관과 나주 목문화관 그리고 나주향교 긍성관은 나주 곰탕의 원조 식당들이 주변에 있는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금성관의 대문격인 망화루를 들어서니 마치 궁궐터와 같은 느낌이 드네요. 금성관은 지방유형문화재 제 2호로 국내 최대 크기의 조선시대 나주목(牧)의 객사(客舍)입니다. 객사란 고려~조선시대때 지방 궁실로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고을 관리와 선비들이 모여 망궐례(望闕禮)를 올리며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양쪽의 익사(翼舍)에서 유숙하게 하던 곳이지요.일제시대에는 나주군청청사로 사용되기도 했답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궁궐을 보는 느낌이 듭니다. 아무래도 왕의 통치가 강력하지 못하고 조금은 미약한 시기였기에 왕의 대리인이 백성을 다스린다는 의식을 심어주어야 했을테니요. 금.. 2010. 6. 28. 나주 : 정갈한 백반집 "사랑채" 그리고 남파 고택(박경중 가옥) 전남 나주 백반집 "사랑채" 와 남파고택(박경중 가옥) 전라도 음식하면 대표적인 음식이 한정식 혹은 백반이겠지요. 주민분이 추천하는 백반집을 찾아갑니다. 나주신협에서 다리 건너 내천옆으로 고택 지붕이 보이네요. 보이는 기와집이 사랑채 식당입니다. 이 집은 원래 박경중 가옥중 1930년대에 지은 사랑채 건물을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식당이라기 보다는 고택에 들어서는 느낌입니다. 사랑채 규모만으로도 집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고택이 풍기는 집에서 식사를 하게되네요. 식당이라기보다는 시골 친척집에 놀러온 기분이라고 할까요. 사랑채라는 이름보다 전통식당이라는 이름이 크네요.이름이 "전통식당"처럼 보이지요. 음식의 기본 찬들입니다.18가지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반찬들이 깔끔하고 정갈합.. 2010. 6. 27. 나주 산포수목원 메타세콰이어 가로수 길 산포수목원(전남 산림 자원 연구소) 메타세콰이어 가로수 길 전남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 나주에 있는 산포 수목원은 1박 2일 나주편에 나온 이후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전라남도 산림자원 연구소(http://jnforest.jeonnam.go.kr/)가 함께하고 있는 수목원이지요. 아주 큰 수목원은 아니지만 조용하고 깔끔한 느낌이 듭니다. 특히 입구에서 부터 펼쳐지는 메타세콰이어 가로수 길은이곳의 백미이지요. 메타세콰이어 길하면 담양이 가장 유명한데관광지화 되어있는 그곳보다는시원한 직선 가로수길이 더욱 정감이 갑니다. 이곳에서 내리는 눈을 바라보면 참 아름답겠구나 생각해봅니다. 장마 무더위가 기승이라 더운 날인데살랑 살랑 바람도 불고 시원함만 가득합니다. 시와 사진의 걸개 그림도 있어 걷.. 2010. 6.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