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일을 마치고 연구소를 나서는데
하늘이 온통 회색빛이었습니다.
캔버스에 그림을 그려놓은 듯 하더군요.
가끔 생각해봅니다.
저 구름 너머 하늘의 끝은 어디일까
또 그곳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고요.
사람은 죽어서 그 영혼은
하늘로 올라 별이 된다는데
나는 나중에 어떤 별이 되어
밤 하늘에 반짝이게 될까 생각해봅니다.
어찌보면 한순간같은 찰나의 인생인데
그래도 참 소중한 많은 것들을
가슴에 담는 것 같네요.
살아있어 느낄 수 있음이 감사합니다.
당신을 만난 것에 감사한
마음을 안고 살아갑니다.
우리는 우주를 떠도는
두 점의 먼지처럼
서로에게 빛을 던졌던 게 아닐까요.
신이라 해도, 우주 자체라고
해도 좋습니다.
그 무엇이든 조화와 질서를 이루는
위대한 구조 아래에서는
지상의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광대한 우주의 시간을 생각하면
4일이든 4억 광년이든 별 차이가 없을 겁니다.
그 점을 마음 깊이 간직하며 살아갑니다.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
로버트 킨케이드가 프란체스카에게 보낸 편지글>
[연구소 주차장에서 아이폰으로 우산봉쪽 하늘을 촬영]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내리는 밤과 낮의 풍경 (0) | 2012.01.05 |
---|---|
파나소닉 루믹스 GX1 영입 - 지름신이 또 발동하다. (0) | 2011.12.30 |
가을 하늘이 내게로 온다. (0) | 2011.08.30 |
태풍 무이파의 피해를 본 가거도, 보길도, 선유도, 홍도 - 그 아름다운 풍경 (0) | 2011.08.12 |
도종환 詩人의 "나무에 기대어" 詩를 읽고 (0) | 201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