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숲(휴양림,수목원,편백숲)

김제 금구 편백숲길 - 금구명품길과 양석냉굴을 찾다.

by 마음풍경 2017. 7. 24.

전북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양석마을(양석경로회관) ~ 편백숲1,2,3 ~

양석냉굴 ~ 양석마을

(약 4km, 2시간 소요)

 

오래전부터 전국에 구석구석

숨어있는 편백숲을

찾아 길을 걷고 있다.

 

김제 금구명품길에

편백숲이 있다고 해서

들머리인 양석마을을 찾아간다.

 

마을에 들어서자 입구에서

금구 명품길 안내판이

먼저 반겨준다.

 

금구명품길 중 편백숲이

조성된 곳까지만 걷기로 하고

1코스 이정표를 따라

길을 걷기 시작한다.

 

특이하게 마을을 흐르는 개천에 

사금을 채취하는 내용이

안내가 되어 있다.

 

1900년대 초 일본 사람들이

금광을 개발했다고 하니

사금이 나올만도 했겠다.

 

그래서인지 금광을 캐던

사람들의 삶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다리를 건너 길을 올라서니

양석 냉굴 삼거리가 나오고

명품길은 오른편으로 이어진다.

 

물론 나중에 되돌아 올 때

더위도 식힐겸

냉굴도 찾아보려한다.

 

임도길은 참 편안하고

아늑하기만 하며

덥지 않은 날에 걷는다면 

더욱 좋을 것 같다.

 

그래도 간간히 바람이 불어와서

더운 날이지만 걷기에 무리가 없다.

 

거대한 은행나무가 있는 것을 보니

역사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1900년초 이후에

금광개발을 위해

큰 마을이 형성이 되었다고 하고.

 

마을을 지나 임도길을 걸어가니

첫번째 편백숲을 만난다.

 

편백숲은 조성이 된지가

오래되지 않아

편백나무가 다른 곳에

비해 크지는 않다.

 

멀지 않은 모악산에도

편백숲이 조성이 되어 있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876

 

모악산 편백나무 숲길 - 연분암길 탐방로를 따라

모악산 편백나무 숲길 (연분암길 탐방로)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인동 산 142 모악산 중인동 주차장 -> 금곡사길(금곡사) -> 북봉 -> 모악산 정상 -> 매봉 갈림길 -> 연분암(연분암길, 편백나무숲) ->

sannasdas.tistory.com

 

빽빽하게 자라고 있는 나무들을 보니

앞으로 10~20년만 지나면

무성한 편백숲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나무의 상태를 보니

잘 관리가 되고 있는 것 같아

나중에 다시 찾는다면

어떤 모습의 숲으로

변해있을까 궁금해진다.

 

눈을 감고 편백숲에 머물면서

긴호흡으로 바람에 실려오는

향긋한 편백의 향을 맡는다.

 

금새 머리가 맑아지고

몸이 가벼워진다고 하면

조금 과장된 표현일까. ㅎ

 

첫번째 편백숲을 지나도

운치있는 숲길은 계속 이어진다.

 

그리고 작은 고개에 넘어서자

2번째 편백숲 산림욕장에 도착한다.

 

이곳에 몸 치유를 위해

장기간 머무는 분들도 만날 수 있고.

 

앞서 만난 편백숲보다는

규모도 더 크고

휴식 시설들도 있다.

 

잠시 더워진 몸도 식히고

의자에 누워 눈을 감고

휴식을 한다.

 

아무 생각없이

멍때리는 시간이

얼마나 행복한지

요즘 들어 새삼 느낀다.

 

편백숲은 나무숲과는

상쾌함에서 차이가 있고

몸과 마음이 힐링이 되는

기분이 저절로 든다.

 

숲 관리를 위해 간벌을 해서

편백의 향기가 더욱

진하게 풍겨온다.

 

간벌된 통나무가 널려있던데

마음 같으면 하나 들고 오고픈

마음이 간절했다. 

 

땀도 다 식혔고 3번째 편백 숲을

찾아서 다시 길을 나선다.

 

여튼 이곳은 편백숲이

하나로 뭉쳐있지 않고

임도를 따라 군데 군데 조성이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고 할까.

 

작은 고갯길을 넘어

500여미터 걸어가니

3번째 편백숲이 나타난다.

 

금구명품길 편백숲

산책로라는 안내판를 따라

새소리가 명랑한 숲의

울창함속으로 들어간다.

 

이곳에서 편백숲뿐만 아니라

선운사의 장사송과 유사한 

반송(盤松)을 만난다.

 

다만 소나무의 가지 일부가

잘려 죽어있어서

관리가 필요해 보이고.

 

흔들의자에 앉아 잠시 쉬다가

남은 편백 숲길을 마저 걷는다.

 

숲을 빠져나가자

저수지와 함께 민가가 나오는데

전혀 예상치 않은 등장이다.

 

이런곳에 살면 외롭겠지만

편백숲과 주변 자연 환경이

좋아서 부럽기만 하다.

 

금구명품길 걷기는 다음을 기약하고

왔던 길을 따라 다시 되돌아 간다.

 

이곳까지 오는데 1시간 걸렸기에

오가는데 2시간이면 충분하다.

 

임도는 차가 다닐 수가 있어서

몸이 불편하거나 길을 걷지않고

편백숲만 즐기려는

사람들도 좋을 것 같고

MTB를 타고 임도를

라이딩을 하고도 싶다.

 

아직은 길가에 자라고 있는

편백나무가 어려서

그늘을 만들어 주지 못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해결될 문제라

나중을 기대해본다.

 

세상일이 하루아침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무와 숲에서 깨닫는다.

 

돌아가는 길도 참 편안하고

평화로운 풍경만 눈앞에 펼쳐진다.

 

나무도 좋고 마을 풍경도 참 좋다.

 

양석 마을은 마을 입구에

선돌 두 개가 나란히 서 있어서

양석(兩石)이라 불렸는데

행정구역 통폐합 때 뜻이 다른

‘염소 양(羊)’ 자를 써

‘양석’이 되었다고 한다.

 

입구 삼거리에서 더운 날이라

큰 기대감으로

시원함이 가득할

양석 냉굴로 향한다.

 

1902년부터 꼬깔봉에서 개발된

광산의 흔적으로 1995년 이후 

냉풍굴 관광지로 변모를 했다.

 

주변에는 봉림냉굴과

상목냉굴도 있다고 하고.

 

굴 내부 광장에서  

더 이상 들어갈 수는 없지만

굴의 전체 길이는 금맥을 따라

60km로 금산사까지

이어져 있다고 한다.

 

여름 한철만 식당으로 운영이 되며

내가 간 날도 많은 사람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찾고 있으며

냉굴에 잠시 머물러도

천연 에어컨 바람이 시원해서

금방 더위를 잊을 수 있다.

 

담장에 포도 익어가는 풍경을 보니

마음 또한 평화롭고 여유로워진다.

 

아늑한 편백숲과 편안한 임도

그리고 시원한 냉굴에 대한

기억으로 오래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