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길

세종시~유성 자전거 도로 - 태양광 지붕이 달린 자전거 고속도로

by 마음풍경 2012. 3. 31.

세종시~유성 자전거길

 

 신성동~ 반석역 ~ 외삼동 자전거길 입구 ~

거칠메기 고개 ~ 세종보(원점회귀)

(총 32km, 2시간 30분 소요)

  

대전 유성에서 세종시까지

국도 1호선이 새롭게 개통이 되고

 자전거 도로도 신설되었다는 기사를 보고

자전거로 달려보기 위해 집을 나섭니다.

 

늘 갑천을 시작으로 자전거를 탔었는데

오늘은 노은 방향으로 가게되네요.

 

 반석역을 지나 당진고속도로가 지나는 길

못미쳐 자전거 도로가 시작이 됩니다.

 

 본격적인 자전거 길이 시작되는 곳에

작은 공원도 조성이 되었고

 

오늘 오전에 개통식이 있어서인지

준비하는 사람들도 분주하네요.

 

세종시~유성 자전거 길을 시작합니다.  

 

 8.78km 길이에 3.8m의 왕복 2차로로

국도 가운데에 신설이 되었습니다

 

 바로 옆 파란 줄 차선이 

BRT가 다니는 전용 길이기에

소음이나 위험으로부터

버퍼 역할도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세종시까지 멀게만 느껴졌는데

10km가 채 되지 않습니다.

 

좌우로 차가 지나가는데 가운데로

자전거를 타고 가니 색다른 체험이네요.

 

 북유성IC가 있는

거칠메기 고개도 넘어갑니다.

 

 이 자전거 도로의 또 하나의 특징은

65억원을 들여 만든 태양광 지붕으로

6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하루 6MW의 전기를 생산한다고 하네요.

 

태양광에너지가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가장 확실한 미래 청정 에너지기에

많은 곳에 활용이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자전거 도로의 지붕이 되어주니

약간의 햇빛도 피할 수 있어 좋더군요.

 

자전기 타기가 4대강 사업과 연관되어

긍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못하지만

국토 균형 발전이라는 세종시 건설과

관계가 되는 거라 마음이 편해집니다.

 

 그래서인지 자전거를 타고 가는

제 그림자도 흥겹게 보입니다. 

 

소설가 김훈은

자전거 여행이라는 책에서

자전거타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을 했지요.

 

"자전거를 타고 저어갈 때,

세상의 길들은

몸속으로 흘러들어온다.

 

모든 오르막과 모든 내리막은

땅위의 길에서 정확히 비긴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비기면서,

다 가고 나서 돌아보면

길은 결국 평탄하다. "

 

터벅 터벅 길을 걸을 때

자연과 하나가 되는 느낌인데

자전거를 탈 때 세상의 길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기분을

알 것 같습니다.

 

거칠메기 고개를 넘어 오다보니

어느새 세종시 아파트

모습이 보입니다.

 

그리고 자전거 전용 도로는

아쉽게도 종점을 만나게 됩니다.

 

자전거 도로 종점 좌측으로 가니

한두리교에서 금강을 만납니다.

 

4대강 건설 공사의

금강 지역에 속합니다.

 

공사중이라 어수선하고요.

 

벤치에 앉아 다리를 바라보며

커피 한잔 하며 잠시 쉽니다.

 

이곳까지 저와 함께

달려온 자전거도

사진 한장 찍어줘야지요. 

 

금강의 종점인 군산하구둑까지

약 100km가 남았습니다.

 

금강의 발원지인 장수 뜬봉샘에서

군산 하구둑까지 약 400km이니 

이곳에서는 1/4이 남은거네요.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658

 

금강 발원지 : 전북 장수의 뜬봉샘

금강 발원지 : 전북 장수군 수분리의 뜬봉샘 지난번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낙동강의 발원지인 황지를 찾아가보고 이번에는 그 3번째로 금강의 발원지인 뜬봉샘을 찾아가기 위해서 장수 읍

sannasdas.tistory.com

 

공사중인 금강1교의 모습도 보이고

 세종 신도시 아파트도 나옵니다.

 

유성~세종시 도로 개통식

설치 작업이 분주합니다.

 

집에서 16km에 1시간 반이 걸려

세종보 전망대에 도착했습니다.

 

아주 소박한 세종보를 보니

여주 여강길에서 만났던 보는

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곳을 원점회귀로 해서

되돌아 갑니다.

 

세종시가 발전해서

비대해진 수도권의 기능이

지역에 분산되는

성공 사례가 되었으면 합니다.

 

자전거 전용 도로로 올라 타서

유성으로 되돌아갑니다.

 

계룡산 장군봉 능선도 보이고

삼불봉도 바라보입니다.

 

자전거 도로 입구 공원에 도착하니

아직 개통식은 시작되지 않았고

개통식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많이 늘어 복잡하네요.

 

자전거 도로를 빠져나와

집으로 길을 따라 달립니다.

 

바람을 가르며

자전거를 타는 기분은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

착각을 합니다.

 

살면 살수록 삶의

무게감이 커지지만

자전거타는 순간은

바람이 되기에 말입니다.

 

집으로 돌아오니 아파트 정원에

노란 개나리가 피기 시작했습니다.

 

조금만 있으면 화사한

봄꽃 터널 사이로

자전거를 타고 가겠지요.

 

 유성과 세종시를 연결하는

자전거 도로는

여느 자전거 도로와는

다른 색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차가 다니는 도로 가운데에

길이 있어

소리나 먼지가

심하지 않을까 했는데

기존 도로 옆을

지나는 길에 비해

 심한 것 같지도 않고

교차로나 신호등이 없어서

안전한 것 같습니다.

 

태양광 지붕이 달린

자전거 고속도로를 타고

자주 금강으로

나가봐야 할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