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역사,사찰

계룡산 신원사 계곡길 - 관음봉과 연천봉을 이어걷다.

by 마음풍경 2017. 8. 4.

계룡산 신원사 계곡길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 주차장 ~ 신원사 ~ 고왕암 ~

관음봉 ~ 연천봉 ~ 등운암 ~

신원사 ~ 주차장

(약 8.5km, 5시간 소요)

 

신원사는 동학사 갑사와 함께

계룡산의 3대 사찰이지만

대전에서 볼 때 계룡산 너머

가장 먼곳에 자리하고 있어서

동학사나 갑사에 비해

발걸음은 뜸한 편이다.

 

개인적으로 신원사에 마지막으로

왔던 것이 언제인지 찾아보니

오래되지 않은 것 같았는데

 10년 가까운 시간이 흘러갔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233

 

계룡산 우중 산행길 - 신원사에서 동학사까지

계룡산 우중 산행길 신원사 주차장 ~ 신원사 ~ 고왕암 ~ 연천봉 사거리 ~ 관음봉 ~ 은선폭포 ~ 동학사 주차장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계룡산을 가벼운 마음으로 갑니다.  유성 온천역 6

sannasdas.tistory.com

 

아담한 느낌의 경내 모습도

예전 그대로 인것 같고

은은하게 들리는 불경 소리도

변함은 없다.

 

과거 여름에 왔을 때도

붉은 배롱나무 꽃이 가득했는데

오늘도 환한 얼굴도 반겨준다.

 

다만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대웅전 왼편 하얀색 배롱나무는

꽃이 풍성하지 않고

상한 모습이 조금 안타깝다.

 

신원사 대웅전 경내 포토존에서

남동쪽 방면을 바라보면

산 능선이 누워있는 부처인

와불처럼 보인다.

 

그리고 본격적인 산행을 하기전에 

잠시 산신각인 중악단에 들러본다. 

 

오늘도 사람들이 자신의 소망을

이루기 위한 기도를 하고 있고.

 

기도를 통해 소망을 이룰 수 있다면 

진정 미륵 세상은 도래하는 것일까.

 

중악단 너머 고개를 내밀고 있는

계룡산 천황봉이 왠지 이채롭다.

 

중악단 경내를 나와 숲길을 걷다가

고왕암 방향으로 산행을 시작한다.

 

나중에 내려올 때는

왼편 등운암 방향이다.

 

가파른 돌길로 이어진 길이지만 

계곡 물소리와 함께 하니

더위도 누그러 지는 것 같다.

 

과거 산행 기록을 보면 이 코스를 따라

쉽게 연천봉에 올랐다고 되어 있는데
이제는 세월만큼 몸도 늙었다 보다. 

 

고왕암에 도착해서 숨도 돌려본다.

 

신원사는 새로운 건물도 많이 생겨

조금은 어수선하던데

이곳은 변함없이 예전모습 그대로여서

더욱 반갑게만 느껴진다.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을

추억하며 이름 지었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계룡산에 있는 여러 암자 중

가장 마음이 가는 곳이다.

 

고왕암에서 잠시 숨을 돌리고 나서

 다시 가파른 산길을 이어 걷는다.

 

아무래도 기온과 습도가 높아서

땀이 몸 전체에 흥건하다.

 

연천봉 고개로 이어지는 계곡의 

마지막에서 멋진 폭포를 만난다.

 

골을 따라 시원한 바람도 불고 

계곡의 폭포 소리도 가득하니 

더운 여름이지만

힘들게 올라온 보람이 있다.

 

그냥 이곳에 머물다가

내려가고픈 유혹도 생기고. 

 

그래도 아직 산행하면 봉우리를

올라야한다는 본능이 남아있어서 

연천본 고개를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이곳 연천봉 고개에서 관음봉을 갔다가

다시 되돌아와 연천봉으로 향하려 한다.

 

연천봉 고개에서 관음봉을 가는 길은

 문필봉을 오르지 않고 우회를 하기에

조금 전 산행에 비하면 편안하다.

 

물론 문필봉은 합법적으로

갈 수 있는 곳은 아니지만

자연 훼손만 크게 없다면

그 길도 개방을 하면 좋겠다.

 

풀속에 조용히 숨어 자라고 있는

작은 꽃들도 소중하게 들어오고.

 

여름 산행에서 반갑게 만나는

노란 원추리꽃도 새삼 반갑다.

 

떠오르는 노래도 흥얼거리며 걷다보니 

푸른 하늘이 시원한 배경이 되는

관음봉 정상에 도착한다. 

 

새롭게 설치된 정상석 데크에서 바라보니

 천황봉이 한결 여유롭게 다가온다.

 

이곳을 마지막으로 오른 

2015년 1월에는 데크가 없었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90174

 

계룡산 조망길 - 2015년 새해 첫 발걸음을 하다.

계룡산 조망길 동학사 주차장 ~ 천장골 ~ 큰배재 ~ 남매탑 ~ 삼불봉 ~ 자연성릉 ~ 관음봉 ~ 은선폭포 ~ 동학사 ~ 주차장(약 10km, 3시간 30분 소요) 계룡산은 지리산 다음 두 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

sannasdas.tistory.com

 

과거 관음봉의 높이는 816m인데

현재는 766m로 변경이 되었다.

 

삼불봉의 높이가 775m이니

합법적인 출입 구간에서 만날 수 있는 

계룡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의 지위를

아쉽게도 내어주게 된 것 같다.

 

하긴 산을 올라 높이를 따지는 것이

정말 하찮은 일이라는 것을 

삼불봉으로 이어지는

자연성릉의 풍경을 담은

한장의 사진이 설명해준다.

 

산은 높이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조망으로 봐야하는 것 아닐까.

 

계룡산 천황봉을 바라보면

가지못함에 대한 안타까움이 크고

언젠가 갈 수 있으리라는

소망도 중첩이 된다.

 

국립공원 중에서 정상을 오르지 못하는 산이

이곳 계롱산과 무등산뿐인데

언제쯤 두 봉우리는 자유를 찾을 수 있을지..

 

그래도 천황봉 능선 못지않게 

아래로 펼쳐지는 골의 느낌도

참 장대하고 아늑하다.

 

관음봉에서 김밥으로 점심을 하고

연천봉을 오르기 위해 되돌아간다. 

 

연천봉 고개에는 등운암에 대한

전설이 설명이 되어 있다.

 

하긴 이처럼 높은 곳에 암자가 있으니

그에 맞는 사연은 있겠지.

 

과거에 연천봉 고개에서

관음봉이나 갑사로만 갔지

이곳을 가보지는 못했던것 같다.

 

연천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천황봉의 모습은 정말 최고였다.

 

계룡산 정상은 대전 방향이 아니라

반대편인 이곳에서 바라봐야

멋지고 웅장한 조망을 보여준다.

 

발아래로는 등운암이 있어서

계룡산 천황봉과 암자 그리고 

연천봉이 하나의 풍경처럼 펼쳐진다.

 

그리고 연천봉 정상에는

"방백마각 구혹화생"이라는

글자가 새겨져있다.

 

이곳에서 멀지않은 향적산에도

이색적인 글자들을 만날 수 있는데

계룡산하면 굿당과 풍수설이 떠오르기에

이런 흔적들을 자주 접한다.

 

글자를 풀이하면 조선은

개국 482년만에 망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고 하는데

조선 역사는 518년(1392~1910)으로 

그렇게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으니 

이곳의 예언은 맞는다고 해야할지...

 

연천봉을 내려와서 

등운암으로 발걸음을 한다.

 

등운암은 계룡산 암자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서인지 조망도 빼어나다.

 

등운암 경내에 잠시 머물다가

보광암을 향해 하산을 시작한다.

 

내려갈 때는 능선을 따라 가기에

계곡길보다는 조금 더 수월하고. 

 

정상이 한눈에 펼쳐지는

조망터가 자주 있어서

내려서는 발걸음이 한결 편안하다.

 

오똑한 봉우리 너머로 펼쳐지는

계룡저수지도 아스라하고.

 

조망 쉼터도 있어서 앞서 걸었던

계곡길을 걷는 느낌과는

다른 새로운 풍경과 함께 한다.

 

처음 걷는 길이라 그런지

계룡산 산행의 익숙함과는 다르게 

눈앞에 펼쳐지는 풍경들은 

다 새롭고 신선한 느낌이다.

 

이제 산길을 벗어나

아늑한 숲길로 접어드는데

계룡산에서는 보기 드문 울창한

소나무 숲길이 마음을 사로잡고.

 

소나무 숲을 빠져나오자

보광원(보광암)을 만난다. 

 

붉은 배롱나무 꽃너머로 펼쳐지는

계룡산 능선도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더운 몸도 식힐 겸

신원사 계곡에 잠시 머물른다.

 

갑사나 동학사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계곡이지만

수량도 많고 제법 높은 곳까지

계곡물을 만날 수가 있어서 

여름 산행 겸 피서로는

 손색이 없을 것 같다. 

 

계곡 물소리와 새소리만이 가득한 숲은

햇살마저도 참 감미롭다.

 

신원사길은 시원한 계곡에서

물소리를 들으며 쉬기도 좋고

편안한 숲길을 걷으면

 마음도 참 가벼워진다.

 

산행을 해도좋고 아니면

계곡에 머물러도 좋으니

멋진 피서지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