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연풍새재 옛길
조령산 자연휴양림 입구 ~ 조령3관문 ~
책바위 ~ 문경초점 ~ 동화원 ~ 조령3관문
(약 5km, 2시간 소요)
괴산의 연풍새재 옛길은 소조령에서
문경새재 3관문인 조령관으로 가는 길로
현재 조성이 된 길은
조령산 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시작해서 조령3관문까지 약 1.5km이다.
옛길의 입구인 조령산 자연휴양림에서
하룻밤을 보내면서
산책 삼아 걸으면 참 좋을 것 같다.
특히 과거에는 조령3관문까지
차가 다니는 길이었지만
지금은 차량 통행이 되지 않고
걸어서만 갈 수 있는 길이 되었다.
새재 길이 과거를 보러 가던 길이라
새재를 이야기한 시도 많다.
물론 경상도에서 한양을 가는데
더 편하고 빠른 길은 죽령이지만
죽령을 넘으면 미끄러운 대나무처럼
과거 시험에 미끌어진다는 속설이 있고
새가 날 듯이 과거에 급제한다는 뜻이 있어서
새재를 넘는 길을 택했다고 한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574
소백산 자락길(2) : 죽령옛길을 걷다.
소백산 자락길 2코스 일부(승지길-과수원길) 금계호-금선정-풍기온천-소백산역(구 희방사역)(12.6km), 3시간 10분 소요 3코스(죽령옛길-용부원길-장림길) 소백산역-죽령옛길-단양 용부원리-죽령역-
sannasdas.tistory.com
세상에 학문을 알리는 일이
과거 급제만은 있는 것은 아니고
이 시를 쓰신 분처럼
관직을 택하지 않은 선인도 있다는 사실이
개인적으로는 더 마음에 든다.
세상 모든 만물은 전부 다 존재해야할
가치가 있는 것이기에
지나친 욕심부리지 않고
그 쓰임새에 맞게 쓰일 수만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이 세상에 태어난 의미는
충분하지 않겠는가.
과거에는 이 길이 그저
주변 산행을 하고 내려오던 길이거나
문경새재를 걷기위해 올라야할 길이었는데
연풍새재 옛길이라는 이름을 듣고 나니
마주하는 풍경 하나 하나가 값지게 보인다.
차가 지나가면 먼지로 인해 어수선한 길도
이제는 아주 운치있는 그늘을 만들어준다.
아~ 숲의 향기가 너무나 싱그럽다.
과거에 맛난 동동주를 팔던 식당 건물은
임산물 판매장과 찻집으로 바뀌어 있고.
설향이라는 이름표를 단 세련된 인테리어에
분위기(?) 있는 맛난 차도 마셔본다.
문경새재로 향하는 길은 이제는
아스라한 추억의 길이 되었지만
아주 오래전 고사리 마을의
산그림 호텔에서부터 이어진
인연의 끈은 여전히 길을 따라 이어진다.
조령3관문 입구도 과거를 보러가는 동상 등
새로운 시설물들이 많이 들어선것 같다.
멋진 시구절이 새겨져 있는 시비도 만나고.
평화롭고 풍요로운 세상을
꿈구는 사람들은 길을 따라 걷는다.
그 아름다운 꿈은 언제나
길에서 시작해서 길에서 갈무리된다.
수많은 고개길이 있지만
단양 죽령과 영동의 추풍령과 함께
충북 제일의 고개가
연풍새재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고갯마루에 올라서서인지
바람이 시원하고 맑다는 느낌이 든다.
부산진에서 시작해서 한양까지 이어지는 과거길과
충청북도 모습을 지형화한 조형물도 만날 수 있다.
또한 백두대간 조령은 이화령에서 시작한
조령산 능선을 마패봉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참 오랜만에 조령3관문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과거 조령산을 비롯해서 주변의 산행을 하면서
많은 인연을 이어주는 그런 곳인데.
https://sannasdas.tistory.com/10512456
괴산 신선봉 암릉길 - 마역봉과 깃대봉을 이어걷다.
신선봉(967m), 마역봉(910m), 깃대봉(844m) 충북 괴산군 연풍면 고사리 마을 레포츠 공원 ~ 할미바위 ~ 신선봉 ~ 마역봉 ~ 조령3관문 ~ 깃대봉 ~ 치마바위골 ~ 말용초 ~ 새터 휴게소 (약 10km, 6시간) 오랜만
sannasdas.tistory.com
옛 기억을 뒤돌아 찾아보니
마지막으로 온것이 2010년 여름이니
만 7년의 시간이 훌쩍 흘러갔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626
한여름에 걸어본 문경새재 과거길과 거문골 계곡
문경새재 과거길과 거문골 계곡 문경새재 주차장(옛길 박물관) => 1관문(주흘관) => KBS 촬영장 => 2관문(조곡관) => 3관문(조령관) => 마당바위 => 오른편 거문골 => 마당바위 => 1관문 => 주차장(왕복 약
sannasdas.tistory.com
책바위도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지
궁금하기도 해서
빠른 걸음으로 내려선다.
물론 과거에 비해 숲은 더 울창해졌지만
예전의 모습은 변한 것이 없다.
다만 한가지 새롭게 보이는 것은
안내판에 적혀진 '낙동강 발원지'라는 글귀이다.
낙동강 발원지하면 태백의 황지가 있는데
이곳도 낙동강 발원지인 문경초점이라고 하니
조금은 어리둥절해진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650
낙동강 발원지 : 강원 태백의 황지
낙동강 발원지 : 강원 태백의 황지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에 이어 이번에는 낙동강의 발원지인 황지를 찾습니다.근데 황지 또한 강원도 태백에 있습니다. 더욱이 찾아가기 쉽게 태백 시내
sannasdas.tistory.com
다만 비석의 뒷면을 보니 이곳이
세종실록지리지에 3개의
낙동강 근원지 중에 하나라고 한다.
그리고 이곳이 또한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이라고 하는데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를 가는 길에
만날 수 있는 삼수령 고개도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으로 알고 있어서
무엇이 맞는지 조금은 혼란스럽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89643
태백 매봉산 바람의 언덕 길 - 삼수령과 매봉산을 찾다.
삼수령 및 매봉산 바람의 언덕 강원 태백시 참으로 오래만에 차를 가지고 여행을 떠납니다. 당초 대중교통과 두 발로 태백의 가고픈 곳을 다닐려고 했으나매봉산, 삼수령, 검룡소, 귀네미
sannasdas.tistory.com
물론 지자체의 관광 홍보 차원에서
이를 활용하는 것은 좋은데
태백과 문경에서 좀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하긴 어느 곳으로도 강물은 흐르기에
발원지가 어디면 무슨 상관이겠는가.
병들어 가는 강의 모습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있다면
물이 흐르는 계곡 모두가 다
발원지라고 해도 상관없을 것 같다.
오늘은 부봉 입구의 동화원에서
발걸음을 다시 되돌린다.
부봉하면 겨울 산행의 아름다운 추억이
아직까지 깊게 남아 있는 곳이다.
https://sannasdas.tistory.com/13390078
주흘산 부봉 설경길 - 문경새재를 따라 눈길을 걷다.
주흘산 부봉(916m) 고사리 주차장 ~ 조령3관문 ~ 동화원 ~ 6봉(부봉) ~ 조령2관문 ~ 동화원 ~ 고사리 주차장 (약 12km, 4시간 소요) 주흘산 부봉은 영봉이 있는 주흘산 주능선에서 북서쪽으로 벗어나 있
sannasdas.tistory.com
지금은 온통 초록의 여름 풍경이지만
그날은 새하얀 눈이 소복하게 쌓인
멋진 암릉의 풍경이 가득했었다.
비록 눈으로 인해 산길이 막혀서
다 돌아보지 못한 아쉬움까지도..
되돌아 가는 길에서 달콤하게
풍겨오는 숲의 향기에 취하고
층층이 새롭게 피어나는
초록의 숲 풍경에 또 한번 취한다.
맨발로 시원하게 걸어도
좋을 흙길은 마음뿐만 아니라
몸까지도 저절로 힐링이 된다.
어쩌면 두발이 아니라 맨몸으로도
자연인이 되어 걷고픈 마음이다.
다음번에 오면 신선봉도 다시 오르고 싶고
또 조령산의 그 멋진 능선에 올라
탁트인 주변 조망도 바라보고 싶다.
과거의 추억이 되살아나는 곳에 오니
그동안 무디었던 산행의 본능(?)이
새삼 살아오르는 기분이다.
연풍새재길 걷기를 마치고
조령3관문 의자에 앉아 쉬고 있는데
귀여운 다람쥐가 주변을 서성인다.
먹을거리를 달라고 하는 것 같은데
때마침 배낭에는 아무것도 없어서
미안한 마음으로 다람쥐를 바라만 본다.
그나저나 오랜만에 찾아온 곳이지만
추억이 다양하게 떠오르는 것을 보니
흘러가버린 과거의 인연이 아니라
새롭게 만나야할 인연이라는 생각이다.
'문화,역사,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제 아리랑 문학마을과 조정래 아리랑 문학관을 가다. (0) | 2017.07.28 |
---|---|
괴산 수옥폭포와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을 찾다. (0) | 2017.07.01 |
홍성 홍주읍성 역사길 - 의병과 천주교 박해가 담긴 곳 (0) | 2017.05.22 |
홍성 그림이 있는 정원 - 자연속에 담겨진 아담한 정원 (0) | 2017.05.17 |
당진 아미미술관 - 정겨운 옛정취와 예술이 어우러진 곳 (0) | 2017.05.14 |